3개의 노란 책
Mar 30, 2023
인도의 철학 및 나
1. 이 책에서 “나는 누구인가? 라는 개념을 인도 철학 역사와 함께 썼다. 왜냐하면 인도인들이 이 질문을 오래전에 했다는 것을 일부러 써내고 싶었기 때문이다.
인도의 철학자들은 ‘나’라는 개념을 항상 질문하고 그에 대한 답을 수백년 동안 중요시 해 왔다. 인도철학이 ‘나’라기 이전에 ‘내가 아닌 게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했었다.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그리 쉽게 대답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나’란 애초에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내가 되어야’ 한다. 현재 뇌학자들이 이 고대의 질문에 답하려 계속 노력하고 있다. 이것은 단순히 뇌만 측정한다고 답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이 책에서 깊이 설명했다.
중국의 철학 및 우리
2. ‘우리가 누구인가’라는 질문이 왜 중요하고 가치 있는가. 사회화, 국가의 형성 및 건설은 다 ‘우리’가 한다. 따라서 ‘나’가 모여서 ‘우리’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 책에서 ‘우리’라는 개념을 중국 철학과 같이 논하는 목적은 중국철학 속의 잠재적 표현인 ‘우리’라는 개념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강조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나’는 ‘우리’가 없으면 불가능하다.
중국의 국민들은 “우리”라는 위대한 도덕 철학 작품과 ‘우리’라는 국가 철학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렇게 ‘우리’에 충실한 국민들이 있는 만큼 ‘우리’를 존중하는 국가가 있다는 것을 이 책에서 읽어 볼 수 있다.
아랍의 철학 및 인간
3. 인간이란 누구인가? 인간의 특징이 무엇인가? 인간성, 인문적, 인류, 인간세상 이 모든 개념들이 언제 생겼는가? 이 책에서 ‘인간은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아랍의 철학을 다루었다. 아랍 철학의 한 가지 큰 역할은 ‘인간은 누구인가’ 라는 질문을 오랜전부터 해 온 것이다.
아랍 세계는 옛부터 인간을 어떻게 인간으로 만들 것인가에 중점을 두었으며 아랍과 이슬람 철학자들이 여러 세대를 거쳐 책도 쓰고 학교도 만들었다. 아랍-이슬람 세계가 인류에게 얼마나 많은 발전을 선물했는지 이 책을 통해 공부 할 수 있다.
Daniel Lewi5 min ago
Very interesting and informative article on design. I learned a lot of new and interesting.
Jessica Miller1 min ago
I agree, a very interesting article. Thank you very much!